2015년 1회 1급 – 전파법규



1. 전파법에서 정의하는 “무선 설비”의 정의로 옳은 것은?


  A. 전파를 보내거나 받는 전기적 시설
  B. 전기적으로 전파를 수신하는 장치
  C. 전파를 보내는 설비로서 송신장치
  D. 송신장치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공간에 복사하는 설비

  Show Answer


2. 주파수대의 약칭인 “EHF\" 파의 주파수 범위는?


  A. 30[MHz] 초과 300[MHz] 이하
  B. 300[MHz] 초과 3.000[MHz] 이하
  C. 3[GHz] 초과 3아GHz] 이하
  D. 30[GHz] 초과 300[GHz] 이하

  Show Answer


3. 다른 무선국의 정상적 운영을 방해하는 전파의 발사•복사 또는 유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A. 방해전파
  B. 스퓨리어스
  C. 잡음
  D. 혼신

  Show Answer


4. 아마추어국은 자국의 발사전파가 다른 무선국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시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조난, 긴급, 안전, 비상통신을 행하는 경우는 제외)


  A. 즉시 당해 주파수에 의한 전파의 발사를 중지한다.
  B. 1분간 기다린 후 송신한다
  C. 더 높은 출력으로 전파를 발사한다
  D. 계속하여 교신을 하여도 무방하다

  Show Answer


5. 다음 중 무선국의 준공검사 사항이 아닌 것은?


  A. 무선 설비의 기술기준
  B. 시설자의 경력
  C. 무선종사자의 자격
  D. 무선종사자의 정원배치 기준

  Show Answer


6. 아마추어국용 주파수 중 재난구조통신을 행할 수 있는 주파수대가 아닌 것은?


  A. 3.5[MHz]
  B. 18.068[MHz]
  C. 2.4[MHz]
  D. 144[MHz]

  Show Answer


7. 무선국의 정기검사는 최대 몇 년의 범위 내에서 실시하는가?


  A. 매년
  B. 5년
  C. 3년
  D. 2년

  Show Answer


8. 통신운용 중 준수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A. 운용시간
  B. 호출방법
  C. 청취의무
  D. 휴식시간

  Show Answer


9. 아마추어국의 정기검사 시기에 대한 규정으로 맞는 것


  A.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전후 6개월 이내
  B.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전후 3개월 이내
  C.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전후 2개월 이내
  D. 정기검사 유효기간의 만료일 전후 1개월 이내

  Show Answer


10. ‘스퓨리어스 발사’라 함은 필요주파수대폭 바깥쪽의 주파수에서 발생하는 발사를 말하는 것으로 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A. 고조파 발사
  B. 기생발사
  C. 대역외 발사
  D. 상호변조 및 주파수 변환 등에 의한 발사

  Show Answer


11. 다음 중 아마추어국이 유•무선 중계통신을 행할 수 있는 경우는?


  A. 안전통신
  B. 방향탐지에 관한 통신
  C. 재난구조통신
  D. 훈련목적의 통신

  Show Answer


12. 다음 중 변경허가 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A. 준공기간
  B. 무선설비가 설치된 차량을 교체하는 경우
  C. 수신기 변경
  D. 호출부호

  Show Answer


13. 허가받은 것으로 보는 무선국은?


  A. 간이무선국
  B. 실험국
  C. 전기통신 역무를 제공받기 위한 휴대용 무선국
  D. 기지국

  Show Answer


14. 아마추어무선기사 기술을 잃어버리거나 못쓰게 되어 재발급을 받고자 하는 경우 그 신청기한은?


  A. 지체 없이
  B.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7일 이내
  C.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14일 이내
  D.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

  Show Answer


15. 무선종사자 기술자격검정에 합격한 자에게 기술자격증을 발급하는 곳은?


  A. 국립전파연구원
  B. 중앙전파관리소
  C.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D. 체신청

  Show Answer


16. 제1급 아마추어무선기사의 종별범위에 해당하는 것은?


  A. 아마추어국 공중선전력 500[W] 이하 무선설비 운용
  B. 아마추어국 공중선전력 1000[W] 이하 무선설비 운용
  C. 아마추어국 공중선전력 1500[W] 이하 무선설비 운용
  D. 아마추어국 공중선전력 2000[W] 이하 무선설비 운용

  Show Answer


17. 비상통신 호출 또는 응답사항에 전치하여야 하는 부호는?


  A. OSO 3회
  B. SOS 3회
  C. VW 3회
  D. EZX 3회

  Show Answer


18. 서로 다른 국가의 아마추어국간의 무선통신에 관하여 바른 설명?


  A. 어느 국가의 주관청이 무선통신에 반대한다고 통고하는 경우 그 국가와 아마추어 무선 통신은 불가
  B. 아마추어 무선통신업무는 순수한 취미활동이라 국가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이를 간섭하여서는 안됨
  C. 서로 다른 국가간의 아마추어 무선통신을 하고자 할 경우 사전에 해당 국가의 주관청에 등록해야 한다.
  D. 서로 다른 국가간의 아마추어 무선통신은 금지한다.

  Show Answer


19.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황방법으로 무선국의 개설허가 또는 변경 허가를 받은 경우 무선국 처분 규정은?


  A. 운용정지 1년
  B. 운용정지 2년
  C. 운용정지 3년
  D. 취소 또는 폐지

  Show Answer


20. 1년 이상 15년 이하의 징역형에 해당되는 위반행위는?


  A. 조난통신 긴급통신 안전통신의 발신명령 불이행 행위
  B. 정부를 폭력으로 파괴할 것을 주장하는 통신 행위
  C. 적합성 평가 받지 않고 기자재를 판매할 목적으로 제화또놈 수입한 행위
  D. 적합성 평가 받은 기자재를 개조• 변조 • 복제한 행위

  Show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