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밀 또는 정부재산의 보호를 위하여 울타리 또는 경비원에 의하여 일반인 출입의 감시가 요구되는 보호구역은?
A. 제한지역
B. 제한구역
C. 통제구역
D. 통제지역
Show Answer
2. 통신시설이 통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 아래 사항 중 틀린것은?
A. 비인가자의 출입을 금지한다.
B. 비밀취급자인가자는 누구든지 언제나 출입한다.
C. 외부로부터 실내가 투시되지 않도록 보호 조치한다.
D. 출입시 안내원으로 부터 안내를 받아도 비인가자의 출입은 불가능하다.
Show Answer
3. 무선전화의 통신보안 취약성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A. 동일한 수신 장치로 도청이 가능하다.
B. 무선전화로 중요내용을 평문 통화하기 쉽다
C. 출력에 따라 원거리까지 전파될 수 있다.
D. 실선 어느 곳이나 수화기를 접속시켜 손쉽게 도청이 가능하다
Show Answer
4. 아마추어무선기사에 대한 통신보안 교육기관은?
A. 중앙전파관리소
B.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C. 체신청
D. 전파연구소
Show Answer
5. 다음 중 통신보안용 호출명칭의 구성은?
A. 호출명칭은 한글을 포함하는 숫자로 최대 5자까지 구성
B. 호출명칭은 특수문자로 구성
C. 호출명칭은 기호 영문으로 구성
D. 호출명칭은 영문을 포함하는 숫자로 최대 6자까지 구성
Show Answer
6. 누설되는 경우 국가안전보장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비밀은?
A. 특급 비밀
B. I 급 비밀
C. II급 비밀
D. III급 비밀
Show Answer
7. 다음 중 교신분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방향탐지
B. 일일통신량 통계
C. 교신일시 파악
D. 발신인
Show Answer
8. 다음 중 유선전화의 통신보안상 취약점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A. 전화선로에 수화기를 접속하면 도청이 가능하다.
B. 무선중계방식인 경우 도청이 어렵다.
C. 즉흥적 문답식통화이므로 보안자재사용이 어렵다
D. 실선에 의한 통화방식으로 도청의 염려를 망각하기 쉽다.
Show Answer
9. 통신보안 위규사항 중 보안자재 및 비밀 통신제원의 누설내용과 관련이 없는 것은?
A. 암호•음어 및 약호의 누설
B. 암호전문에 대한 평문문답
C. 암호와 평문의 혼합사용 및 암호문의 평문 이중송신
D. 공개할 수 없는 외교 조약
Show Answer
10. 송신보안의 보호방책과 거리가 먼 것은?
A. 통신시설에 대한 방어
B. 도청에 대한 방어
C. 방향탐지에 대한 방어
D. 교신분석에 대한 방어
Show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