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회 – 통신보안



1. 통신정보의 의미로 가장 적당한 것은?


  A. 통신시설을 갖추어 소통되는 통신내용을 도청 분석하여 얻어지는 정보이다
  B. 통신장비의 설계 및 성능에 관한 정보이다.
  C. 통신으로 전달하는 정보로서 주로 통신시설에 관한 정보이다.
  D. 통신정보는 음성적이고 적극적인 수단을 필요로 한다

  Show Answer


2. 비밀은 그 중요성과 가치의 정도에 따라 구분한다. 다음 중 비밀 구분이 아닌 것은?


  A. I 급비밀
  B. II 급비밀
  C. III급비밀
  D. 암호

  Show Answer


3. 약호자재를 사용하는 목적은?


  A. 기만통신 방지
  B. 방향탐지 방지
  C. 방해통신 방지
  D. 특정내용 비익

  Show Answer


4. 무선국 시설자의 통신보안책임자 지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시설자는 1개의 통신망에 대한 지휘 감독할 수 있는 부서의 관리직에 있는 자로 1인의 통신보안책임자를 지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B. 시설자는 2개 이상의 통신망이 동일 무선국에서 운용될 경우 통신보안책임자를 1인으로 지정할 수 있다.
  C. 시설자는 무선국별 산하 통신망에 대하여는 통신보안책임자를 별도로 지정할 필요가 없다
  D. 시설자는 무선국이 1일 8시간 이상 운용되는 경우에는 부책임자를 따로 지정할 수 있다.

  Show Answer


5. 다음 중 보안자재의 송달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A. 인편으로 보낸다
  B. 등기우편으로 보낸다
  C. 소포로 보낸다
  D. 일반우편으로 보낸다

  Show Answer


6. 유선전화의 통신보안 취약성과 관계가 먼 것은?


  A. 실선에 의한 통화이므로 보안의식 없이 중요내용 통화
  B. 동일한 수신장치로 도청가능
  C. 원거리인 경우 통신위성 및 무선중계회선을 이용하므로 우선구간에서 쉽게 통화내용 도청가능
  D. 유선회로에 유도 송신장치 접속으로 도청 가능

  Show Answer


7. 통신보안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A. 국가기밀과 산업정보의 누설 가능성을 사전제거
  B. 무선통신 이용증가로 통신소통 신속성 확보
  C. 국가기밀 및 정보누설의 최소화
  D. 획득하려는 정보와 획득 당한 정보분석의 지연

  Show Answer


8. 다음 중 기만통신의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A. 통신망에 개입하여 상대를 오인시켜 비밀을 탐지
  B. 통신종사자의 인적사항을 탐지
  C. 통신소의 위치탐지
  D. 통신제원의 탐지

  Show Answer


9. 다음 중 통신보안시설에 대한 보호구역으로 볼 수 없는 것은?


  A. 제한지역
  B. 제한구역
  C. 통제구역
  D. 금지구역

  Show Answer


10. 긴급사태 발생으로 현재용 보안자재의 긴급파기 시 최우선 순위는?


  A. 관리번호가 빠른 것부터
  B. 접수순서가 빠른 것부터
  C. 보관상태가 나쁜 것부터
  D. 배부처가 많은 것부터

  Show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