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회 -통신보안



1. 다음 중 송신보안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보안자료의 탈취에 대한 방어
  B. 도청에 대한 방어
  C. 방향탐지에 대한 방어
  D. 기만통신에 대한 방어

  Show Answer


2. 다음 중 암어 사용이 허용되지 않는 무선국은?


  A. 해안국
  B. 기지국
  C. 선박국
  D. 아마추어국

  Show Answer


3. 통신전문을 신속하게 보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A. 암호
  B. 약어
  C. 약호
  D. 음어

  Show Answer


4. 비밀을 분류할 때 비밀등급의 책정은 어떤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A. 가능한 높게
  B. 가능한 낮게
  C. 보안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하여 한 등급 상위 책정
  D. 중요성과 가치의 정도에 따라

  Show Answer


5. 긴급사태의 발생으로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고 인정할 때 약호자재 긴급파기 순서?


  A. 과거용-현재용-미래용
  B. 과거-미래-현재
  C. 미래-과거-현재
  D. 현재용-미래용-과거용

  Show Answer


6. 통신보안을 요하는 사항에 대하여 무선통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통신보안용 약호를 사용하여야 하는 통신망이 아닌 것은?


  A. 국가 안전보장상 주요통신망
  B. 국가기간통신망
  C. 사설통신망
  D. 방위산업통신망

  Show Answer


7. 다음 통신수단 중 통신보안도가 가장 높은 것은?


  A. 인편에 의한 전령통신
  B. 우편통신
  C. 전기통신
  D. 시호통신

  Show Answer


8. 통신보안 위규사항 중 국가외교비밀 누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제외공관에 발하는 훈령의 내용
  B. 외교에 관한 방침 계획 및 그 집행에 관한 사항
  C. 공개할 수 없는 외교조약의 내용
  D. 대공관계자 신원조사에 관한 사항

  Show Answer


9. 다음 중 단파통신의 통신보안 취약점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A. 단파수신기의 제작이 용이하다.
  B. 주파수 범위가 협소하여 혼신이 많다
  C. 일반인이 단파수신기를 많이 가지고 있다.
  D. 원거리에서 도청이 가능하다

  Show Answer


10. 다음 중 통신정보의 수집 수단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교신분석
  B. 암호분석
  C. 방향탐지활동
  D. 통제구역설정

  Show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