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다음 중 통신보안을 잘못 기술한 것은?
A. 송•수신 과정에서 비밀이 누설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한다.
B. 적이 얻으려는 정보의 양을 최소한으로 국한시킨다.
C. 통신수단에 의하여 소통되는 비밀의 누설가능성을 사후에 제거한다.
D. 적이 얻으려는 정보를 최대한 지연시킨다
Show Answer
2. 다음 중 무선통신의 제원에 해당하는 것은?
A. 통신용 수신기
B. 주파수
C. 통신담당자
D. 통신문의 내용
Show Answer
3. 다음 중 통신보안 위반사항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국내침투 간첩과의 교신
B. 경찰서 위치정보에 관한 통신
C. 북한 통신소와의 교신
D. 반국가적인 불온통신
Show Answer
4. 다음 중 상호 약정된 부호나 신호로 가시거리 내 의사소통을 하는 통신방식은?
A. 음향통신
B. 시호통신
C. 우편통신
D. 전기통신
Show Answer
5. 다음 중 통신정보의 기능과 특징으로 옳은 것은?
A. 통신내용을 수집하는 기능이다.
B. 통신내용을 보호하는 기능이다
C. 효과측정이 곤란하다.
D. 방어적 수단이다.
Show Answer
6. 다음 중 통신문의 사전 보안성 검토자가 아닌 자는?
A. 보안담당관
B. 문서통제관
C. 전문발송자
D. 기관장
Show Answer
7. 사용기간이 만료된 통신보안용 약호자재의 처리방법은?
A. 자체 소각
B. 배부기관으로 반납
C. 검찰청으로 반납
D. 국가정보원으로 반납
Show Answer
8. 다음 중 기만통신에 대한 방어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A. 확인범의 주기적 변경
B. 상호 약정된 확인범의 사용
C. 상대방 통신특성의 세밀한 파악
D. 기만통신을 당하였을 때에는 예비주파수로 전환
Show Answer
9. 다음 중 통신망 구축 시 보안대책이 아닌 것은?
A. 통신장비 수급 관리 시 보안대책 수립
B. 통신망 관리책임자의 보고체계 다원화
C. 보안자재 및 보안장비의 설치운용
D. 통신망 신설 및 증설 시 통신보안대책 수립 의무화
Show Answer
10. 다음 중 전화통신의 보안대책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전화기에 자동보안장치 설치
B. 음어의 사용으로 비밀내용 은폐
C. 비밀 또는 중요 내용의 통학억제
D. 전화기에 녹음장치 설치
Show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