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1회 1급1형 -통신보안



1. 다음 중 통신을 할 때, 잡담을 피해야 하는 이유는? (정답지없음-개인답)


  A. 잡담을 하면 통신시간이 길이지기 때문
  B. 잡담을 하면 타인의 이야기를 하기 때문
  C. 잡담 중에 개인 사정이 노줄되기 때문
  D. 잡담 중에 중요한 국가 기밀사항이 노출되기 때문

  Show Answer


2.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을 준수하지 않은 경우 해당 무선종사자에게 명할 수 있는 업무종사 정지기간은? (단, 위반횟수가 2회일 경우) (정답지없음-개인답)


  A. 1개월
  B. 3개월
  C. 6개월
  D. 1년

  Show Answer


3. 다음 중 통신보안 위반사항이 아닌 것은? (정답지없음-개인답)


  A. 군사상 기밀의 누설 또는 유출
  B. 외교상 기밀의 누설 또는 절취
  C. 국가정보활동 관련 사항의 누설 또는 절취
  D. 필요한 무신통신 사용

  Show Answer


4. 무선종사자가 통신보안교육을 받지 아니한 경우의 처분 기준은? (단, 2차 위반한 경우) (정답지없음-개인답)


  A. 업무종사정지 3개월
  B. 업무종사정지 6개월
  C. 업무종사정지 1년
  D. 업무종사정지 2개월

  Show Answer


5. 다음 중 무선국 운용 시 준수하여야 할 통신보안 사항이 아닌 것은?


  A. 무선국 허가사항을 준수하여야 한다
  B. 무선국 이용자를 최대한 확보하여야 한다
  C. 발신전문의 사전 보안성을 검토한다.
  D. 비 인가된 보안자재의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

  Show Answer


6. 다음 중 도청에 의한 정보수집 수단이 아닌 것은? (정답지없음-개인답)


  A. 교신분석
  B. 암호분석
  C. 기만통신
  D. 침투수집

  Show Answer


7. 긴급사태 발생 시 암호자재의 파기방법으로 틀린 것은?


  A. 긴급파기계획은 평상시에 수립
  B. 사용기간이 끝난 암호자재부터 파기
  C. 사용중인 암호자재를 계속 보유할 수 없을 때에는 배부처가 많은 것부터 파기
  D. 파기사실을 경찰청장에게 통보

  Show Answer


8. 통신시설이 통제구역으로 지정되어 있을 경우 아래사항 중 틀린 것은?


  A. 비인가자의 출입을 금지한다.
  B. 비밀취급인가자는 누구든지 언제나 출입한다
  C. 외부로부터의 투시 및 도청 방지대책을 마련한다
  D. 출입 시 안내원으로부터 안내를 받아도 비인가자의 출입은 불가능하다

  Show Answer


9. 다음 중 통신도청에 대한 방지책이 아닌 것은?


  A. 통신보안상치를 설치
  B. 통신제원의 수시 변경
  C. 불필요한 전파발사 억제
  D. 통신 상대방 확인

  Show Answer


10. 다음 중 비밀내용의 해독을 최대한 지연시킬 수 있는 방법은?


  A. 약이와 평문을 혼용하이 교신
  B. 음어와 암호를 사용하여 교신
  C. 모르스 부호를 사용한 교신
  D. 일반 통신으로 교신

  Show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