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신보안 위규사항 중 국가외교비밀의 누설이 아닌것은?
A. 재외공관에 발하는 훈령의 내용
B. 공개할 수 없는 외교조약의 내용
C. 외교에 관한 방침 계획 및 그 집행에 관한 사항
D. 대공관계자 신원 조사에 관한 사항
Show Answer
2. 다음 중 통신보안의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A. 전파의 이용질서를 바로 잡기 위한 것
B. 국가 기밀 누설 가능성을 사전에 제거하기 위한 것
C. 전파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하기 위한 것
D. 통신 취급자의 신변 보호를 위한 조치이다.
Show Answer
3. 다음은 무선국 운영시 준수하여야 할 통신 보안 사항들이다. 적당하지 않는 것은?
A. 무선국 허가사항을 준수 하여야 한다.
B. 무선국 이용자를 최대한 확보하여야 한다.
C. 발신 전문의 사전 보안성을 검토한다.
D. 비 인가된 보안자재의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
Show Answer
4. 다음 중 통신정보 활동으로 볼 수 있는 것은?
A. 통신문의 내용을 도청하여 분석한다.
B. 정보누설량을 최소화 한다.
C. 비밀누설 가능성을 사전에 제거한다.
D. 비밀 누설을 될 수 있는 한 지연시킨다.
Show Answer
5. 다음 중 무선 통신의 취약성이 아닌 것은 ?
A. 기만 통신을 당할 우려가 있다.
B. 수신기만 있으면 장소에 관계 없이 도청이 가능하다.
C. 장거리 도청이 불가능하다.
D. 통신정보 획득에 비용이 절감된다.
Show Answer
6. 통신보안 위규사항 중 불온통신 사항이 아닌 것은?
A. 북한 통신소와의 교신
B. 국내 침투 간첩과의 교신
C. 범죄행위를 교사하는 내용
D. 산업정보에 관한 내용
Show Answer
7. 약호자재 취급에 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A. 약호자재는 필요시 복제 복사가 가능하다.
B. 약호자재는 대외비로 분류한다.
C. 약호자재는 비밀문서와 혼합 보관하여야 한다.
D. 약호자재는 반납용. 현용. 예비용을 함께 봉인 보관하여야 한다.
Show Answer
8. 다음 중 통신 보안도가 가장 높은 통신 매체는 ?
A. 동축케이블
B. M/W회선
C. 유선 TTY
D. 무선 TTY
Show Answer
9. 무선 설비를 이용하는 자가 통신 보안을 위하여 취하여야 할 사항은 ?
A. 통신보안 책임자를 지정한다.
B. 통신보안 업무 활동계획을 수립한다.
C. 무선설비 운용 중 통신보안 사항을 준수한다.
D. 통신시설 이용자에게 통신보안 교육을 실시한다.
Show Answer
10. 보안자료의 용기에 대한 조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자물쇠 번호의 수시변경
B. 내부 확인이 가능한 투명 용기 사용
C. 휴대하기 곤란한 무거운 용기 사용
D. 이중 잠금장치가 된 견고한 금고 사용
Show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