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4회 1급 1형 – 통신보안



1. 다음 중 음향통신의 보안상 취약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통신의 신속성 결여
  B. 제3자의 방해
  C. 기상의 영향으로 청각의 제한
  D. 기만 및 역이용당할 우려

  Show Answer


2. 통신보안 책임자의 임무가 아닌 것은?


  A. 발신전문 사전 보안성 검토
  B. 자체 통신시설의 통학내용 상시 감독
  C. 무선국 운용에 따른 통신보안 업무활동계획 수립
  D. 통신보안 위반사항 발생 시의 수사활동계획 수립

  Show Answer


3. 통신보안과 통신정보의 비교 특성이 바르게 설명된 것은?


  A. 통신보안은 방어 수단이다.
  B. 통신보안은 양성적이고 공격적이다.
  C. 통신정보는 보호 기능이다.
  D. 통신 정보는 효과 측정이 곤란하다.

  Show Answer


4. 약호자재를 사용할 수 없는 통신망은?


  A. 국가기관통신망
  B. 방위산업통신망
  C. 아마추어통신망
  D. 국가안전보장상 주요 통신망

  Show Answer


5. 통신운용상의 3대 요소 중 맞는 것은?


  A. 신속-안전-정의
  B. 신속-정확-친절
  C. 신속-보안-안전
  D. 신속-정확-안전

  Show Answer


6. 암호표를 가지고 암호의 내용을 알아내는 정보수집 방법은?


  A. 암호해독
  B. 암호분석
  C. 교신분석
  D. 제원분석

  Show Answer


7. 다음 중 암호자재를 제작하여 필요한 기관에 공급하는 곳은?


  A. 방송통신위원회
  B. 검찰청
  C. 국가정보원
  D. 행정안전부

  Show Answer


8. 가장 간편하고 신속· 정확하며 거리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는 현대의 대 표적인 통신수단은?


  A. 전령통신
  B. 음향통신
  C. 시호통신
  D. 전기통신

  Show Answer


9. 다음 중 적국과의 통신보안에 저촉되는 것이 아닌 것은?


  A. 범법자에 대한 수사 상황
  B. 방첩에 관한 주요시책
  C. 간첩 및 그 용의자에 대한 수사활동
  D. 적에게 유리한 국가의 산업정보

  Show Answer


10. 자재보안의 보호방책 중 거리가 먼 것은?


  A. 보안자재 보관용기의 비치
  B. 무용자재의 완전파기
  C. 통신규율 준수
  D. 자재운반 시 안전한 보호 관리

  Show Ans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