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4회 1급 1형 -통신보안



1. 다음 중 통신보안의 목적은?


  A. 통신수단에 의한 통신정보 수집을 강화하는 것
  B. 통신수단에 의한 정보 누설량을 최소화 하는 것
  C. 통신수단에 의한 보안유지를 최소화 하는 것
  D. 통신수단에 의한 비밀탐지 활동을 강화하는 것

  Show Answer


2. 다음 중 통신정보와 비교한 통신보안의 기능으로 옳은 것은?


  A. 통신보안은 공격수단이다.
  B. 통신보안은 효과측정이 곤란하다
  C. 통신보안은 적극적인 면이 강하다
  D. 통신보안은 비교적 소수의 인력과 예산이 소요된다

  Show Answer


3. 무선통신업무에 종사하는 자의 통신보안교육 이수 주기는?


  A. 5년마다 1회
  B. 3년마다 1회
  C. 5년마다 2회
  D. 5년마다 2회

  Show Answer


4.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말로 알맞은 것은? 모든 비밀을 접수하거나 발송할 때에는 그 사실을 확인하기( )을 사용한다.


  A. 보관증
  B. 접수증
  C. 비밀증
  D. 공인증

  Show Answer


5. 다음 중 기만통신의 목적에 해당하는 것은?


  A. 통신망에 개입하여 상대를 오인시켜 비밀을 탐지
  B. 통신종사자의 인적사항을 탐지
  C. 통신소의 위치탐지
  D. 통신제원의 탐지

  Show Answer


6. 목표로 하는 통신을 교란함으로써 통신을 약화 또는 두절, 마비시켜 소통을 불가능하게 함으로서 반사적 이익을 취하는 것은?


  A. 기만통신
  B. 방향탐지
  C. 방해통신
  D. 교신분석

  Show Answer


7. 다음 중 이동전화에 대한 통신보안 대책으로 거리가 먼 것은?


  A. 무선국 허가사항 준수
  B. 무선종사자에 대한 통신보안 교육 이수
  C. 필요이상의 무선통신 사용억제
  D. 고출력 송신으로 통화범위 확대

  Show Answer


8. 비인가자의 출입이 금지되는 지역으로 장비 및 통신시설의 보호를 요하는 보안상 극히 중요한 보호구역에 해당되는 것은?


  A. 통제구역
  B. 통제지역
  C. 제한구역
  D. 제한지역

  Show Answer


9. 긴급사태의 발생으로 자재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고 인정할 때 암호자재의 긴급파기 순서는?


  A. 과거용 현재용 미래용 순서
  B. 과거용 미래용 현재용 순서
  C. 미래용 과거용 현재용 순서
  D. 현재용 미래용 과거용 순서

  Show Answer


10. 다음 중 각급기관에서 공동으로 사용할 암호자재를 제작하여 필요한 기관에 공급하는 곳은?


  A. 방송통신위원회
  B. 검찰청
  C. 국가정보원
  D. 행정안전부

  Show Answer